암호화폐 구매
마켓
계약
현물
재테크
Web3 new
배우기
Academy > 기술 분석 > 암호화폐 약세장(Bear Market)의 역사 >

암호화폐 약세장(Bear Market)의 역사

2025-03-20 08:14:24

2009년 비트코인(Bitcoin)이 탄생한 이후, 암호화폐 시장은 극심한 변동성과 함께 성장해 왔습니다. 가파른 강세장(Bull Market)과 급격한 약세장(Bear Market)이 반복되는 주기적인 사이클은 기술 혁신, 규제 변화, 시장 투기, 블랙 스완(Black Swan) 사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발됩니다. 투자자들에게는 환영받지 않는 시기이지만, 약세장은 오늘날의 암호화폐 산업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약세장은 보통 과도한 상승 이후 찾아오는 현실적인 조정으로 작용하며, 과장된 시장의 ‘광기’와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를 구분하는 계기가 됩니다. 역사적으로, 약세장은 암호화폐 생태계의 회복력을 시험하는 시기였습니다. 취약한 프로젝트는 붕괴되었지만, 강하고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은 살아남아 더 견고하게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암호화폐 약세장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그 원인과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현재 우리가 또 하나의 ‘크립토 윈터(Crypto Winter)’ 속에 있는지 여부를 살펴봅니다.

주요 크립토 윈터(Crypto Winter) 타임라인

2011년 비트코인 폭락:비트코인의 첫 번째 약세장은 2011년에 발생했으며, 가격이 $32에서 단 $0.01까지 폭락했습니다. 회복 기간: 2011년 6월 ~ 2013년 2월 (약 20개월) 2011년 4월, 비트코인은 심리적 저항선이던 $1를 돌파한 후 단 2개월 만에 $32까지 급등했지만, 상승세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2011년 6월, 비트코인 가격이 며칠 만에 $0.01로 폭락하며 약 99%의 가치가 증발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최대 거래소였던 Mt. Gox(마운트곡스)에서 약 85만 BTC가 해킹당하는 대규모 보안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은 비트코인의 보안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투자 심리를 급격히 위축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014-2015년 대폭락: 2014년 크립토 윈터는 악명 높은 Mt. Gox 해킹 사건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Mt. Gox는 2014년 해킹 이후 모든 거래를 중단했으며, 일본 도쿄와 미국에서 파산을 신청했습니다. 추가적인 악재로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비트코인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 검토를 시작한 점이 있습니다. 또한, 2013년 말 중국 인민은행이 현지 금융기관의 비트코인 거래를 전면 금지하면서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악재로 인해 약세장은 2015년 8월까지 지속되었으나, 이후 비트코인은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결국, 2017년 1월에는 비트코인 가격이 마침내 $1,000를 돌파하며 새로운 강세장이 시작되었습니다.

2018년 크립토 윈터: 2017년의 열광적인 강세장에서 비트코인은 거의 $20,000에 도달했지만, 그 후 몇 달 만에 60% 이상 하락하며 2018년 12월에는 약 $3,200에 근접했습니다. 이 하락은 특히 2017년에 급격히 확장했던 ICO(Initial Coin Offering)가 더욱 철저히 조사받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페이스북과 구글 같은 대형 기술 기업들이 2018년 3월과 6월에 ICO와 토큰 세일에 대한 광고 금지를 시행했으며, 그 외에도 미국 SEC가 비트코인 ETF 신청을 거부하는 등 글로벌 규제 압박이 시장 하락을 더욱 심화시켰습니다.

2022년 대규모 디레버리징: 2022년 하반기부터 2021년까지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큰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DeFi, NFT, 메타버스와 같은 혁신적인 사용 사례에 힘입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와 같은 주요 토큰들이 역사적인 최고가를 기록했지만, 2022년에 그 버블은 터지고 말았습니다. 이 현상은 LUNA의 붕괴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UST의 페깅이 무너지는 것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위권에 속했던 테라는 그 붕괴로 인해 도미노 효과를 일으켰고, 이는 암호화폐 대출 시장 전반에 걸쳐 대규모 청산과 불확실성을 초래했습니다. 셀시우스(Celsius*와 같은 주요 글로벌 암호화폐 대출업체들은 심각한 시장 침체 속에서 지급 불능 상태를 맞으며 인출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2022년 말,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고객 예금을 불법적으로 이용해 자산 운용 회사인 알라메다(Alameda)의 손실을 보전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상황은 더 악화되었습니다. FTX의 붕괴는 광범위한 공포와 청산을 불러왔고, 투자자들의 신뢰가 크게 저하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사건은 거래소들의 투명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게 되었고, 머클 트리 증명 방식(Merkle-tree proof-of-reserves)이 거래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는 약세장인가요?

2025년 2월 말, 암호화폐 시장은 다시 한 번 큰 폭의 급락을 겪었습니다. 단 한 달 만에 20%가 하락한 비트코인은 기술적으로 약세장에 접어들었으며, 솔라나와 같은 다른 자산들은 주요 밈코인 러그풀로 인해 더 나쁜 성과를 보였습니다. 최근의 하락에는 Bybit의 15억 달러 규모 해킹과 업계를 선도하는 시장 조성자 Wintermute가 지속적으로 대규모 포지션을 매도하고 청산한 것 등이 원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반면, 모든 암호화폐 자산의 자금 조달 금리가 여전히 긍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롱 포지션 보유자들이 숏 포지션 보유자들에게 여전히 거래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광범위한 청산은 가격의 연쇄적인 하락을 초래하지만, 이는 또한 시장에서 투기적인 레버리지가 청산되고 장기 보유자들이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기적으로 시장이 크게 반등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지만, 시장이 이미 장기적인 약세장에 접어들었다고 단정 짓기에는 이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비트코인은 여전히 2024년의 많은 기간보다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giftRegister to get $180 Welcome Bonus!
Email
Password
인증코드 (선택사항)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 Telegram
  • Discord
  • Youtube
Subscribe Phemex

페멕스에 등록하여 가상화폐를 거래해 보세요

가입하여 $180 거래 보너스를 받으세요